컴퓨터 과학/네트워크 7

리눅스 네트워크 환경 구축

WSL 활성이 필요하다. - 윈도우 WSL을 이용해서 구축 cmd를 통해 리눅스 서브시스템 지원을 활성화 시킨다.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Microsoft-Windows-Subsystem-Linux /all /norestart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VirtualMachinePlatform /all /norestart - WSL 2 사용을 위해 윈도우 업데이트를 설치한다. - WSL의 기본 버전을 2로 변경시킨다. wsl --set-default-version 2 - MS store에서 우분투, 윈도우 터미널을 설치한다. - 현재 설치된 리스트를 확인한다. wsl --list --verb..

protocol and programs of Application layer

- FTP (File Transfer Protocol): 파일 전송 프로토콜 - Telnet -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메일보내기 - DNS (Domain Name System): 도메인을 작성하면 해당하는 IP주소를 얻어온다 - HTTP: web protocol - DHCP: 동적IP할당, 사설망 address에는 고정된 ip가 아니라 매번 다른 ip를 동적으로 가진다. - Ping: 상대방이 살아있는지 확인 - Tcpdump: 패킷을 캡쳐한다. - Traceouter: 거쳐오는걸 본다 - ... Application IP ICMP UDP TCP ping Traceouter ㅇ ㅇ ㅇ OSPF RIP BGP ㅇ ㅇ ㅇ DHCP TFTP SNMP(Network..

cmd에서 telnet을 이용해 해당 ip의 port가 열려있는지 확인하는방법

cmd창을 관리자 권한으로 열고 telnet [해당ip] [port번호]를 적어주면 telnet에서 해당 port번호가 외부에 열려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열려있지 않다면 windows 검색창에서 '고급 보안이 포함된 Windows Defender 방화벽'을 열어 외부에서 내부로 들어오는 인바운드 규칙을 살펴준다. 아웃바운드는 내부에서 외부로 나가는 규칙이라 어느 특정 도메인에 연결할때 확인하는것이다. 특정 프로그램을 특정 port를 통해 실행하고 싶다면 인바운드의 새규칙에서 추가해주면된다. 만약 해당 포트가 telnet으로도 설정이 되지않는다면 해당 인바운드 규칙에서 속성에 들어가서 '에지 통과 허용'을 선택해주면 외부에서도 해당 포트를 통해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