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TP (File Transfer Protocol): 파일 전송 프로토콜
- Telnet
-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메일보내기
- DNS (Domain Name System): 도메인을 작성하면 해당하는 IP주소를 얻어온다
- HTTP: web protocol
- DHCP: 동적IP할당, 사설망 address에는 고정된 ip가 아니라 매번 다른 ip를 동적으로 가진다.
- Ping: 상대방이 살아있는지 확인
- Tcpdump: 패킷을 캡쳐한다.
- Traceouter: 거쳐오는걸 본다
- ...
Application | IP | ICMP | UDP | TCP |
ping Traceouter |
ㅇ ㅇ |
ㅇ |
||
OSPF RIP BGP |
ㅇ |
ㅇ |
ㅇ |
|
DHCP TFTP SNMP(Network Management) |
ㅇ ㅇ ㅇ |
|||
SMTP Telnet (remote login) FTP HTTP (web) NNTP |
ㅇ ㅇ ㅇ ㅇ ㅇ |
|||
DNS NFS RPC |
ㅇ ㅇ ㅇ |
ㅇ ㅇ ㅇ |
LAN, WAN, Internet
OSI 7 Layer vs TCP/IP Stack
물리계층 - 전기 신호 책임
데이터 링크 - 물리주소 (MAC), 노드대 노드 책임, 프레임
네트워크 계층 - 논리 (IP)주소를 통한 발신지-대-목적지 전송,패킷
전송 계층 - 포트 번호를 이용한 프로세스-대-프로세스 통신, 세그먼트
응용 계층 - 다양한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 존재
'컴퓨터 과학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WSL1과 WSL2의 차이 (0) | 2023.09.06 |
---|---|
리눅스 네트워크 환경 구축 (0) | 2023.08.28 |
cmd에서 telnet을 이용해 해당 ip의 port가 열려있는지 확인하는방법 (0) | 2023.08.23 |
[네트워크] 동적 라우팅 - 221104 (0) | 2022.11.04 |
[네트워크] 물리계층(L1), 데이터링크(L2) 220923 (0) | 2022.09.23 |